F A Q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DigiDox
스마트펜 플랫폼이 자주 연동되는 시스템은 무엇인가요?
SAP ERP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시대에 왜 DigiDox는 수기펜(스마트펜) 방식을 사용하나요?
DigiDox는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의 활용 방안에 중점을 둡니다. 스마트 기술의 최종 목적은 디지털화의 사각지대를 없애는 것이며, 모바일 방식이 요구하는 디지털 기기 적응이나 별도의 교육이 필요 없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수기펜 방식은 고령자나 다국적 근로자도 현지 언어로 기존 업무 방식 그대로 작성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높습니다.
DigiDox를 도입하면 현장 작업자의 업무 방식이 크게 바뀌나요?
아닙니다. DigiDox는 현장 업무 변화 관리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추구하며, 작업자가 기존 업무 방식 그대로 수기펜 작성 시와 동일하게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별도의 교육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방식과 비교했을 때, 비용 효율성은 어떤가요?
스마트펜 방식은 모바일 방식 기술 대비 최대 70% 저렴하여 비용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모바일 방식은 스마트 기기, 개발비, 시스템 도입, 보안 솔루션 도입 및 유지 관리비 등 비용 증대가 발생하지만, 스마트펜 방식은 이러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수기로 작성된 데이터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나요?
DigiDox를 사용하면 점검 결과 수집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종이 양식에 직접 작성하면 점검 결과 데이터의 누락 및 오입력 감소에 따른 데이터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작성된 원본 이미지와 텍스트 결과를 통해 최종 데이터 분석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복잡한 도표나 그림이 포함된 현장 양식도 디지털화가 가능한가?
가능합니다. 스마트펜 방식은 주어진 패턴 내에서만 작성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과 달리, 도표, 도식, 이미지 등 복잡하고 다양한 부분까지 기록이 가능하여 현장의 다양한 업무 특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업무 특성에 따라 작성 양식의 수량, 범위, 용도에 제한 없이 Customizing(맞춤화)가 가능합니다.
작성된 문서의 보안성이나 추적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스마트펜으로 작성된 자필 기록은 필적 및 필체에 따라 데이터 작성자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누가 기록했는지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 장애 발생 시에도 작성된 원본을 취득할 수 있어 데이터 복구 및 원본 관리가 용이합니다.
DigiDox 플랫폼은 어떤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나요?
DigiDox는 산업 현장의 디지털화의 사각지대를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며,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적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전 관리: 안전작업허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 설비 관리: 반도체/발전소/비축기지의 예방점검, 일상점검, 설비 신뢰도 관리.
• 품질 및 공정 관리: 자동차 품질 검사, 강판 품질 검사, 방산 분야 스마트 공정 관리.
• 기타: 보험사의 현장 사고 접수, 항공 분야 운행 및 정비 관리, 지자체의 지역 아동 센터 관리 등.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TBM(작업 전 안전점검회의)에 어떻게 활용되나요?
TBM은 위험성평가 결과를 현장에 전달하는 필수적인 활동이며, 그 결과를 충실히 기록하고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igiDox를 활용하면 TBM 회의록 양식을 표준화하고, 작업 내용, 위험요인, 조치 사항 등을 수기로 작성하는 즉시 데이터로 수집 및 보관하여 기록 관리의 충실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현장 점검 후 데이터 입력 시간이 얼마나 단축되나요?
DigiDox는 검사 실적 입력의 자동화 및 점검 결과의 ERP 자동 등록을 통해 업무 간소화를 실현합니다. 특히, 조립 검사 업무 시간이 단축되고 (데이터화 과정 개선), 정비 문서 스캔 및 입력 작업이 개선되어 업무 부하가 감소됩니다.
만약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도 기록을 확인할 수 있나요?
네. 모바일 방식은 시스템 장애 시 원본 복구가 어려운 반면, 스마트펜 방식은 종이 기반의 **원본(Original image)**을 생성하고, 데이터 통합 서버에 원본 이미지 형태로도 보관되기 때문에 시스템 장애가 발생해도 원본 취득이 가능합니다.
